본문 바로가기
이슈 모아

대출 규제가 전월세 시장 뒤흔들다…서울 아파트 갱신계약·갱신권 사용 증가

by 동네e장 2024. 12. 9.
반응형

전,월세 갱신계약 비중 추이


정부의 전세자금 대출 규제 강화가 전세·월세 시장에도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대출이 어려워진 임차인들이 신규 전세보다 기존 계약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이면서 재계약(갱신계약) 비중이 늘고, 계약갱신요구권(갱신권) 사용도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 갱신계약 비중 증가…“신규보다 기존 유지”

올해 3분기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를 보면, 갱신계약 비중이 **31.2%**에 달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27~29% 선이었던 갱신 비중이 올해 꾸준히 30%를 넘나든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특히 9월 대출 규제가 본격화하자 갱신계약 비중은 33.0%(9월), 34.4%(10월, 잠정치)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세 대출이 어려워지면서 “차라리 기존 집주인과 재계약하자”는 임차인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서울 아파트

🔑 계약갱신요구권 사용 증가…월세 전환도 활발

‘임차인의 필살기’로 불리는 계약갱신요구권 사용도 증가 추세를 보입니다. 올해 3분기 갱신권 사용 비중은 **30.2%**로, 재계약 10건 중 3건이 갱신권을 활용한 셈입니다. 9월 이후 대출 규제가 심해지자 10월까지 갱신권 사용 비중이 눈에 띄게 늘어나, 10월에는 **39.1%**나 갱신권을 사용했습니다.
전세보다 월세 쪽이 더욱 두드러집니다. 전세 자금을 마련하기 어려우니, 전세 보증금 인상분을 월세로 돌리며 갱신권을 쓰는 임차인이 늘어난 것입니다.


💰 전셋값 인상, ‘역전세난’ 완화했지만 임차인 부담↑

전세 갱신 과정에서 보증금 증액 사례가 늘면서, 2년 전 우려했던 ‘역전세난’은 완화됐습니다. 그러나 그만큼 임차인의 부담은 증가했습니다. 대출 규제와 전셋값 상승이 맞물려, 임차인은 자금 마련에 더 큰 압박을 받는 상황입니다.
결국 이중고를 겪는 임차인들은 갱신권과 기존 계약 유지를 통해 어떻게든 주거 안정성을 확보하려 애쓰고 있습니다.


🏠 시장 전망…“임차인, 더 꼼꼼한 대응 필요”

대출 규제가 전세 시장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며, 앞으로도 임차인들은 임대인과의 재계약·갱신권 사용 여부를 두고 고심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매달 내야 하는 월세 부담을 줄이려는 임차인들의 전략적 선택이 늘어나는 가운데, 시장 변화에 맞춘 철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반응형